정부가 부산을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제2 도시로 육성하기 위해 '글로벌 허브 도시 특별법'을 제정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부산이 남부권 혁신 거점으로 자리 잡기 위해 꼭 완수해야 할 사업으로 가덕도신공항을 언급하며 사업 속도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가덕도신공항 사업은 지난해 12월 29일 건설사업 기본계획을 고시한데 이어 토지 보상, 여객터미널 등 건축시설물 설계와 부지조성 사업 발주 등을 위한 절차를 진행 중이다.
기본계획에 따르면 가덕도신공항은 대형 여객·화물기 이착륙이 가능한 3500m 활주로 1본을 갖추고 24시간 운영하는 해상공항으로 건설된다. 총사업비 13조 4900억원이 투입되며 올 연말 우선 시공분에 대한 착공에 나서, 2029년 12월 개항하는 것이 목표다.
현재 부산 시민이 미국, 유럽 등 장거리 국제선 항공노선을 이용하려면 인천공항까지 이동하는 데 약 4시간 30분이 소요된다. 반면, 가덕도신공항이 개항되면 부산시청에서 승용차로 1시간 내외로 이동 가능해 공항 접근성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출처 :https://www.rca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089
정부가 부산을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제2 도시로 육성하기 위해 '글로벌 허브 도시 특별법'을 제정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부산이 남부권 혁신 거점으로 자리 잡기 위해 꼭 완수해야 할 사업으로 가덕도신공항을 언급하며 사업 속도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가덕도신공항 사업은 지난해 12월 29일 건설사업 기본계획을 고시한데 이어 토지 보상, 여객터미널 등 건축시설물 설계와 부지조성 사업 발주 등을 위한 절차를 진행 중이다.
기본계획에 따르면 가덕도신공항은 대형 여객·화물기 이착륙이 가능한 3500m 활주로 1본을 갖추고 24시간 운영하는 해상공항으로 건설된다. 총사업비 13조 4900억원이 투입되며 올 연말 우선 시공분에 대한 착공에 나서, 2029년 12월 개항하는 것이 목표다.
현재 부산 시민이 미국, 유럽 등 장거리 국제선 항공노선을 이용하려면 인천공항까지 이동하는 데 약 4시간 30분이 소요된다. 반면, 가덕도신공항이 개항되면 부산시청에서 승용차로 1시간 내외로 이동 가능해 공항 접근성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출처 :https://www.rca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