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미국 연준(연방준비제도)이 내년 3차례 금리 인하를 시사하자 달러 힘이 빠지면서 원·달러가 이틀 만에 23원 가까이 빠졌다. 시장에서는 지나친 급락으로 평가하며 일시적으로 1280원 대를 터치할 수는 있지만 한동안 1300원을 중심으로 방향성을 탐색할 것이란 시각이 우세하다.
16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전날 원·달러 환율은 1296.5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달 초 1300원 선에서 움직이던 환율은 지난 7일 12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 대한 경계감이 높아지며 1325원까지 치솟기도 했다. 그러다 FOMC 직후 연준의 피벗(통화정책 전환)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25원 가까이 급락하며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다.
앞서 13일(현지시각) 열린 FOMC 정례회의에서 연준은 정책금리를 5.25~5.5%로 동결했다. 3회 연속 동결이다. 공개된 점도표에서는 내년 금리 중간값을 4.6%로 예상했다. 현 금리보다 75bp 낮은 수치로 25bp씩 3차례 인하할 수 있다고 밝힌 것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금리 인하 시기를 위원들과 논의했다. 추가 금리 인상이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 위원들의 관점"이라고 언급하며 인하 기대에 힘을 더했다. 해외IB인 웰스파고(Wells Fargo)는 "2년 동안의 급속한 통화긴축 이후 내년에는 금리인하로 전환할 가능성이 가장 높아 보이며 내년 6월 첫 금리인하를 예상한다"고 봤다.
출처;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31215_0002560305&cID=15002&pID=15000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미국 연준(연방준비제도)이 내년 3차례 금리 인하를 시사하자 달러 힘이 빠지면서 원·달러가 이틀 만에 23원 가까이 빠졌다. 시장에서는 지나친 급락으로 평가하며 일시적으로 1280원 대를 터치할 수는 있지만 한동안 1300원을 중심으로 방향성을 탐색할 것이란 시각이 우세하다.
16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전날 원·달러 환율은 1296.5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달 초 1300원 선에서 움직이던 환율은 지난 7일 12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 대한 경계감이 높아지며 1325원까지 치솟기도 했다. 그러다 FOMC 직후 연준의 피벗(통화정책 전환)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25원 가까이 급락하며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다.
앞서 13일(현지시각) 열린 FOMC 정례회의에서 연준은 정책금리를 5.25~5.5%로 동결했다. 3회 연속 동결이다. 공개된 점도표에서는 내년 금리 중간값을 4.6%로 예상했다. 현 금리보다 75bp 낮은 수치로 25bp씩 3차례 인하할 수 있다고 밝힌 것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금리 인하 시기를 위원들과 논의했다. 추가 금리 인상이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 위원들의 관점"이라고 언급하며 인하 기대에 힘을 더했다. 해외IB인 웰스파고(Wells Fargo)는 "2년 동안의 급속한 통화긴축 이후 내년에는 금리인하로 전환할 가능성이 가장 높아 보이며 내년 6월 첫 금리인하를 예상한다"고 봤다.
출처;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31215_0002560305&cID=15002&pID=1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