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하 '깜빡이'를 켰다. 당장은 금리를 12차례 연속 연 3.5%로 묶었지만 통화정책 최우선 목표인 물가 둔화세가 확연해지자 금리 인하 검토 가능성을 시사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11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금통위원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다. 금통위는 2022년 4월 기준금리를 1.25%에서 1.5%로 올린 것을 시작으로 지난해 1월 3.5%까지 7차례 연속 금리인상을 단행했다. 이후 지난해 2월 금통위에서 10개월 만에 연속 금리인상 행진을 멈춘 이후 1년6개월째 기준금리를 3.5%로 묶었다. 다음 금통위 회의가 8월22일 열리는 것을 감안하면 '기준금리 3.5%'는 1년7개월 넘게 유지될 예정이다. 최장기간 금리 동결이다.
하지만 길었던 금리 동결 행진의 끝이 보이고 있다. 금통위가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에 '금리인하 시기 검토'라는 문구를 새로 추가하면서다.
금통위는 "물가상승률 둔화 추세와 함께 성장, 금융안정 등 정책 변수들 간의 상충관계를 면밀히 점검하면서 기준금리 인하 시기 등을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물가가 목표 수준으로 수렴할 것이라는 확신이 들 때까지 통화 긴축 기조를 충분히 유지할 것'이란 지난 5월 통방문 표현과 비교하면 본격적인 기준금리 인하 검토 메시지를 시장에 던진 것으로 풀이된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지난 5월에는 (금리인하) 깜빡이를 켠 상황이 아니라 금리인하 준비를 위해서 차선을 바꿀지 말지 고민하는 상태였다"며 "현 상황은 물가상승률의 안정 추세에 많은 진전이 있었던 만큼 이제는 차선을 바꾸고 적절한 시기에 방향전환을 할 준비를 하고 있는 그런 상황이 조성됐다"고 말했다.
한은이 글로벌 금리인상 사이클에서 처음으로 금리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건 물가상승률이 유의미하게 둔화세를 보였다는 판단에서다. 오랜 기간 긴축적 통화정책을 유지하면서 물가 안정 측면에서 많은 성과를 이뤄냈다는 자평도 내놨다.
통계청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4%까지 떨어졌고 근원물가 상승률은 2.2%를 나타냈다. 전망도 긍정적이다. 한은은 하반기에도 물가 둔화세가 이어지면서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당초 전망치(2.6%)보다 낮아질 수 있다고 예측했다.
출처: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071117081793683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하 '깜빡이'를 켰다. 당장은 금리를 12차례 연속 연 3.5%로 묶었지만 통화정책 최우선 목표인 물가 둔화세가 확연해지자 금리 인하 검토 가능성을 시사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11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금통위원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다. 금통위는 2022년 4월 기준금리를 1.25%에서 1.5%로 올린 것을 시작으로 지난해 1월 3.5%까지 7차례 연속 금리인상을 단행했다. 이후 지난해 2월 금통위에서 10개월 만에 연속 금리인상 행진을 멈춘 이후 1년6개월째 기준금리를 3.5%로 묶었다. 다음 금통위 회의가 8월22일 열리는 것을 감안하면 '기준금리 3.5%'는 1년7개월 넘게 유지될 예정이다. 최장기간 금리 동결이다.
하지만 길었던 금리 동결 행진의 끝이 보이고 있다. 금통위가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에 '금리인하 시기 검토'라는 문구를 새로 추가하면서다.
금통위는 "물가상승률 둔화 추세와 함께 성장, 금융안정 등 정책 변수들 간의 상충관계를 면밀히 점검하면서 기준금리 인하 시기 등을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물가가 목표 수준으로 수렴할 것이라는 확신이 들 때까지 통화 긴축 기조를 충분히 유지할 것'이란 지난 5월 통방문 표현과 비교하면 본격적인 기준금리 인하 검토 메시지를 시장에 던진 것으로 풀이된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지난 5월에는 (금리인하) 깜빡이를 켠 상황이 아니라 금리인하 준비를 위해서 차선을 바꿀지 말지 고민하는 상태였다"며 "현 상황은 물가상승률의 안정 추세에 많은 진전이 있었던 만큼 이제는 차선을 바꾸고 적절한 시기에 방향전환을 할 준비를 하고 있는 그런 상황이 조성됐다"고 말했다.
한은이 글로벌 금리인상 사이클에서 처음으로 금리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건 물가상승률이 유의미하게 둔화세를 보였다는 판단에서다. 오랜 기간 긴축적 통화정책을 유지하면서 물가 안정 측면에서 많은 성과를 이뤄냈다는 자평도 내놨다.
통계청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4%까지 떨어졌고 근원물가 상승률은 2.2%를 나타냈다. 전망도 긍정적이다. 한은은 하반기에도 물가 둔화세가 이어지면서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당초 전망치(2.6%)보다 낮아질 수 있다고 예측했다.
출처: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071117081793683